박병철, 마음 담은 글씨, 샘터, 2015
캘리그라피(Calligraphy)란?
뜻, 내용, 모양, 소리, 동작 등을 멋스럽고 아름다운 글꼴로 표현하는 것
아름다운 마음을 표현한 글씨
사람의 마음이 따뜻해지는 글씨여야 한다. 강렬하게 느끼고 동감할 수 있도록 쓰는 것이 중요하다.
휴식이 필요합니다. 글씨를 쓰는 시간은 나를 돌아보게 하는 휴식이 됩니다
“어떻게 작품의 영감을 떠올리세요?” “떠다니는 먼지를 잡습니다.” 공중에 떠있는 수많은 사람의 말들과 생각들. 별거 아닌 듯 지나가는 일상적인 세상의 모습들. 이것들을 전혀 다른 눈과 마음으로 바라보면 상상이 보석이 되어 반짝 거립니다.
글씨는 몸이, 손이, 마음이 기억하고 익숙해져야 한다.
(도구마다 특성과 장단점을 이해하고 익숙해져야 원하는대로 글씨가 써진다.)
마음 담은 글씨를 쓰기 위한 좋은 습관
1. 아름 다운 글귀를 적고 만들어 본다.
2. 자유롭고 즐겁게 상상한다.
3. 글귀의 의미를 생각하며 글꼴을 낙서한다.
4. 평소에 반복해서 많이 쓴다.
5. 글씨를 선별하는 눈높이를 키운다.
캘리그라피 - 멋글씨, 멋글씨 예술 ==2012 국립어학원에서 순화어로 발표
시와 멋글씨가 어우러져 멋진 작품이 되었다.
문방다우(文房多友)
붓, 나뭇가지, 나무젓가락, 면봉, 칫솔, 마스카라, 셔틀콕, 폐화선지, 화장붓, 망가진 붓, 크레용, 색연필, 마커펜, 붓펜, 연필, 화선지, 복사지, 티슈, 벽돌, 석고보드, 스마트폰
붓 : 양호필(부드럽다.), 낭호필(탄력이 있다.)
먹 : 요즈음은 시중에서 파는 먹물도 좋다. 물을 섞어서 농도를 조절해서 사용한다.
벼루: 먹을 가지 않으면 도자기나 유리그릇으로 대체ᅟᅡᆺ용
종이(화선지) : 연습지 사용
스마트폰(or 테블릿 PC)에 쓴 글씨, - 터치화면이 가능한 스마트폰에 멋진 표현을 할 수 있다.
먼저 글꼴을 스케치 해복 붓을 잡으라.
붓질 : 누르고, 들고, 빠르게, 천천히, 굵게, 가늘게, 힘차게, 부드럽게, 거칠게, 화려하게, 투박하게, 귀엽게 등 표현이 달라진다.
전각으로 마무리 : 작가의 인장(낙관)을 사용하면 더 빛이 납니다.
의성어 의태어 쓰기
말하는 대로, 보이는 대로, 들리는 대로 쓰기
경영글자 : 거울의 상처럼 좌우가 뒤바뀐 글씨
글씨에 그림을 곁들이는 방법
좋은 멋 글씨의 5가지 요소
1. 가독성, 2. 주목성(목적) 3. 율동성, 4, 독창성 5, 유연성 (p109)
내가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나부터 달라져야 한다. 가장 가까이에서 나를 위해 기도하는 사람을 생각해야 합니다. 작고 소소한 일일지 몰라도 그것부터 생각하고 달라지면 웃을 일도 많아진다.
멋글씨의 3가지 기본형태
1. 낱말 또는 몇 글자로 표현
2. 한 줄 정도의 문장으로 표현
3. 중심이 되는 낱말과 문장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표현
내 이름 석자 쓰기 - 명함 만들기
내 좌우명 쓰기
우리집 가훈 쓰기
다양한 이야기 쓰기, : 일기쓰기, 생일 축하, 엄마나 아빠. 자식들에게, 사랑하는 사람에게
아홉글자 착한 글판 : 아홉자로 된 글을 쓴다.
마음속에 마음을 담아 써 본다.
전쟁하듯 쓰지 말고 산책하듯 글씨를 써보세요. - 잘쓰려는 욕심을 버리고 편안하게 쓰라.
글씨는 주인을 닮아간다. 독창적인 글씨를 쓰라. - 겉멋이 든 사람의 글씨는 요란스럽고 시끄럽다. 진심으로 쓰는 사람의 글씨는 사랑이 넘치며 오래도록 여운이 남고 소유하고 간직하고 싶다.
나 자신을 먼저 사랑하고 글씨를 쓰라.
사람끼리 상대를 이해하고 서로 배려하면서 더 깊은 사이가 됩니다. 글씨도 그렇습니다. 글씨도 써야 할 내용과 쓰일 곳을 이해하고 배려하면서 쓰면 더 좋은 글씨가 됩니다
길은 걸으면 심심하지 않습니다
길을 걸으면 자신을 냉정히 바라보는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길을 걸으면 사람을 이해하는 마음이 커집니다.
마음이 고단한 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길을 걷습니다. 길을 걸으며 마음의 먼지를 털어냅니다. 집에 들어서는 순간에는 웃어야 합니다. 이것은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예의입니다.
'그루터기 취미생활과 일상사 > 독서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형서, 『뺨에 묻은 보석.』 마음산책, 2021 (0) | 2021.10.11 |
---|---|
오현진, 『누구나 쉽게 따라하는 캘리그라피.』 원앤원 콘텐츠(소울메이트), 2016 (0) | 2021.10.10 |
설은향(캘리향), 『처음 배우는 캘리그라피』, 싸이프레스, 2016 (0) | 2021.10.10 |
두파!, 김남미 옮김, 『목공 DIY의 기초』, 한스미디어, 2012 (0) | 2021.10.09 |
이경, 『내게도 편집자가 생겼습니다. 』티라미수, 2021 (0) | 2021.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