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소방안전관리자1급

[소방안전관리자 요점정리 및 예상문제 해설] 소화용수설비, 소화활동설비

그루 터기 2021. 1. 18. 22:35

 

요점정리

 

소방시설의 구조 및 점검

소화용수설비, 소화활동설비

 

 

. 소화용수설비, 소화활동설비

 

1. 상수도 소화용수 설비

1) 배관경 : 75mm 이상의 수도배관에 100mm 이상의 소화전을 접속

2) 설치위치 : 소방자동차 등의 진입이 쉬운 도로변 또는 공지

3) 소화전 설치 수평거리

특정 소방대상물의 수평투영면의 각 부분 으로부터 140m 이하가 되도록 설치

 

2. 채수구 또는 흡수관 투입구의 설치 위치

1) 설치위치 : 소방차가 2mm 이내의 지점까지 접근할 수 있는 위치

2) 가압송수장치 설치

수호수조 또는 저수조가 지표면으로 부터의 깊이가 4.5m 이상인 지하에 있는 경우

3) 저수량

소방대상물의 연면적을 다음표에 따른 기준면으로 나누고, 20을 곱한 량 이상

저수량 = (연면적/ 기준면적) x 20= (연면적/기준면적)값은 올림처리x20

소 방 대 상 물 기준 면적
1층 및 2층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00이상인 건축물 7,500
그 밖의 건축물 12,500

 

4) 흡수관 투입구

소요저수량 80미만 : 1개 이상, 80이상 : 2개 이상

5) 채수구 설치 수

20~39: 1, 40~99: 2, 100이상 : 3

3. 연결송수관설비

연결송수관설비는 넓은 면적의 고층 또는 지하 건축물에 설치하며, 화재 시 소방관이 소화하는데 사용하는 설비이다.

구성요소 : 송수구, 방수구, 방수기구함, 배관

건식 : 평상시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로 지면으로부터 31m 미만, 지상 11층 미만

습식 : 항상 내부가 물이 충전된 상태로 높이 31m 이상, 지상 11층 이상에 설치

 

4. 연결살수설비의 배관

소방대가 현장에 도착하여 송수구를 통해 물을 송수하여 화재 진압

바닥면적 합계가 1,000이상, 지하층으로 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140이상

가지배관의 배열은 토너먼트 방식이 아니어야 하며, 한쪽 가지배관에 설치되는 헤드의 개수는 8개 이하로 하여야 함

 

5. 제연 설비

1) 목적

연기를 배출시켜 화재실의 연기농도를 낮추거나 청결층을 유지(거실제연설비)

부속실을 가압하여 연기유입을 제한(부속실 급기가압제연설비)

연기에 의한 질식 방지로 피난자의 안전 도모(거주자의 안전도모 X)

소화활동을 위한 안전공간 확보

2) 거실제연설비와 부속실 제연설비의 차이

구분 거실제연설비 부속실(급기가압)제연설비
목적 인명안전, 수평피난, 소화활동 인명안전, 수직피난, 소화활동
적용 화재실(거실) 피난로( 부속실,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계단실)
제연방식 , 배기방식 급기 가압 방식

 

3) 제연 구역의 선정

계단실 및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것

부속실만을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계단실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비상용승강기 승강장 단독제연하는 것

4)차압

최소차압: 40Pa 이상(스프링클러가 설치된 경우 12.5Pa 이상)

출입문 개방력 110N 이하

5) 방연풍속

0.5m/sec 이상, 0.7m/sec 이상(부속실, 승강장 단독제연이며 옥내가 거실일 때)

6. 제연 설비 작동순서

1) 거실 제연설비

화재발생

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한다.

수신기에서 화재를 감지한다.

제연설비의 작동

화재경보 발생

제연커튼 내려옴( 이동식커튼은 감지가 작동)

배기, 급기댐퍼

배기팬, 급기팬 작동 (패기팬 연기 빨아들임, 급기팬 외부공기 거실로)

2) 부속실 제연설비

화재발생

감지기 작동 또는 수동기동장치 작동

화재경보 발생

급기댐퍼 개방

댐퍼가 완전히 열린 후 송풍기 작동

송풍기 바람이 계단실 및 부속실에 송풍

플립댐퍼의 작동(설정압 초과 시 압력을 배출하여 설정압 범위 유지)

 

7. 비상콘센트 설치 위치

1) 설치위치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

아파트 바닥면 1,000미만인 층 : 계단의 출입구로부터 5m 이내

바닥면적 1,000이상인 층(아파트 제외) : 각 계단의 출입구 또는 계단부속실의 출입구로부터 5m 이내

2) 설치 수

각 층에서부터 하나의 비상콘센트까지의 수평거리 50m 이하

지하상가 또는 지하층 의 바닥면적 3,000이상은 수평거리 25m 이하마다 설치

 

8. 무선통신보조설비

누설동축 케이블 방식

공중선(안테나) 방식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 방식

 

 

 

 

예상문제풀이

 

5장 소화용수설비, 소화활동설비

 

1. 상수도소화용설비의 설명으로 사실과 다른 것은? (p250)

호칭지름 75mm 이상의 수도배관에 100mm 이상의 소화전을 접속

소방자동차 등의 진입이 쉬운 도로변 또는 공지에 설치

소방대상물의 수평투영면의 각 부분으로부터 140m 이하가 되도록 설치

소화설비에 소화용수를 보급하기 위하여 건물의 벽 또는 구조물에 설치

: 연결살수설비에 대한 설명이다.

 

2. 상수도 소화용수 설비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p250)

호칭지름 75mm 이상의 수도배관에 100mm 이상의 소화전을 접속

소방자동차 등의 진입이 쉬운 도로변 또는 공지에 설치

특정소방대상물의 수평투영면의 각 부분으로부터 140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할 것

소방차가 2m 이내의 지점까지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

4

해설 라번은 소화수조 및 저수조 설치 위치이다.

 

3. 소화수조의 채수구 설치위치는 소방차가 몇 m 지점까지 접근할 수 있어야 하는가?(p250)

. 2m 이내

2m 이상

4m 이내

4m 이상

1 소화수조의 채수구는 소방차가 2m 이내의 지접까지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

 

4. 소화수조에 대해 사실과 다른 것은? (p250)

소방차가 2m 이내의 지점까지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수조가 지표면으로부터 4.5m 깊이에 있는 경우에는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한다.

저수량은 소방대상물의 연면적을 기준면적 7,500 로 나눈 값에 20 곱한 양 이상이 되어야 한다.

흡수관은 직경 0.6m 이상인 것으로 소요수량 80미만인 것에는 1, 이상인 것에는2개 이상 설치한다.

:

저수량 산정에 있어서의 기준면적

- 1층 및 2층 바닥면적 합계 15,000 이상인 건축물 : 7,500

- 기타 건축물 : 12,500

 

5. 가압송수장치는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가 지표면으로부터 깊이 몇 m 이상인 지하에 있을 때 설치해야 하는가? (p250)

1.5m                2.5m                        3.5m                    4.5m

4 ( 소방차가 2m 이내에 접근 할 수 있어야 한다.)

 

6. 1층 및 2층 바닥면적 합계가 15,000이상인 건축물의 저수량을 계산하는 기준 면적은? (p251)

7,500㎡                              10,000

12,500㎡                            15,000

1

 

7. 1층 및 2층 바닥면적 합계가 35,000인 건축물의 저수량은? (p251)

60㎥                    ② 80㎥                    ③ 100㎥                   ④ 120

3 (35,000/7,500=4.6 올림한다. 5x20= 100

15,000이상이면 기준면적이 7,500

 

8. 1층 및 2층 바닥면적 합계가 12,500인 건축물의 저수량은?(p251)

20㎥                        ② 40㎥                  ③ 60㎥                   ④ 80

1 (12,500/12,500=1 무조건 올림한다. 1x20= 20

 

9. 소화수조 소요수량이 40 이상 100 미만인 경우에 설치해야 하는 채수구의 수량은? (p251)

1개                          2

3개                          4

:

채수구의 수

소요수량 20
이상 40미만
40이상 100미만 100 이상
채수구의 수 1 2 3

 

10. 1층 및 2층 바닥면적 합계가 35,000인 건축물의 흡수관 투입구는 몇 개를 설치하여야 하는가?(p251)

0개                  1개                      2개                        3

3 (7번문제의 답 100일 때 몇 개를 설치하여야하는가 문제이다. 80미만인 경우 1개 그 이상 2)

 

11. 1층 및 2층 바닥면적 합계가 35,000인 건축물의 채수구는 몇 개를 설치하여야 하는가?(p251)

0개                    1개                        2개                        3

4 저수량 100일 때 몇 개를 설치하여야하는가 문제이다. 20이상 40미만인 경우 1, 40이상 100미만이 2, 100이상이 3)

 

12. 연면적 30,0002층 건축물의 소화수조 저수량은? (p251)

80㎥                       ② 90㎥                   ③ 100㎥                 ④ 110

1

해설 1층 및 2층 바닥면적 합이 15000이상인 건축물의 기준 면적은 7500이므로 30000/7500 = 4

여기에 4 x 20을 곱하면 80

 

13. 소화수조의 소요수량이 90인 경우 흡수관투입구 수를

몇 개 이상 설치해야 하는가?(p251)

1개 이상                     2개 이상

3개 이상                     4개 이상

2 ( 흡수관: 80미만 일 때 1, 80이상일 때 2)

 

14. 1층 및 2층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02층 건축물의 소화수조 저수량, 흡수관 투입구 수, 채수구 설치 최소수는?(p251)

60, 1, 1개                                80, 2, 2

100, 2, 2개                              120, 2, 3

: 2

해설 : 기준면적은 1+2층 바닥면적의 합이 30,000, 15,000이상이므로 7,500,

- 저수량은 (30000/7500)x20=80

- 흡수관투입구 수: 소요수량이 80미만은 1, 80이상은 2개이므로 2,

- 채수구 수는 20~40미만 1, 40~100미만 2, 100이상은 3개 이므로 2개이다.

 

15. 소화수조의 소요수량이 90인 경우 채수구를 몇 개 설치해야 하는가?(p251)

1개                            2

3개                             4

2 ( 채수구: 20이상 40미만 =1, 40이상 100미만=2, 100이상은 3)

 

16. 소화수조의 소화용수설비에서 소화수조의 소요수량이 100일 때 흡수관 투입구와 채수구의 각각 개수는? (p251)

흡수관 투입구 - 2개이상, 채수구 - 2

흡수관 투입구 - 2개이상, 채수구 - 3

흡수관 투입구 - 3개이상, 채수구 - 2

흡수관 투입구 - 3개이상, 채수구 - 3

2

해설: 흡수관 투입구 : 80미만 -1, 80이상 - 2

채수구 : 20~40- 1, 40~100- 2

100이상 - 3

 

17. 다음 구성요소는 어느 설비의 구성요소인가? (P251)

  보기 :    송수구, 방수구, 방수기구함, 배관

연결살수설비

연결송수관설비

상수도 소화용수 설비

소화수조 저수조 설비

2

 

18. 소화활동설비가 아닌 것은? (p251)

제연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비상경보설비                        연결살수설비

:

소화활동설비: 1.제연설비 2.연결송수관설비 3.연결살수설비 4.비상콘센트설비 5.무선통신보조설비 6.연소방지설비

 

19. 다음 중 연결송수관설비의 구성부분이 아닌 것은? (p251)

송수구                          방수구

방수기구함                    감지기

: 배관이어야 함

 

20. 연결송수관 설비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p251)

송수구

방수구

송수기구함

배관

3

해설: 연결송수관설비 구성요소는 송수구, 방수구, 방수기구함. 배관 (송구기구함이 아님) p251

 

21. 다음은 송수관 설비이다. 아래 그림을 보고 틀린 것은? (p252)

 

 

건식 시스템은 31m 미만 또는 11층 미만인 특정소방대상물에만 설치한다.

건식은 평상시에 연결 송수관 배관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이다.

습식 시스템은 3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한다.

습식은 배관 내부가 항상 물에 충전돼 있다.

3

해설: 습식은 지면으로부터 31m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지상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

 

22. 연결송수관설비의 종류 중 습식에 관한 설명이 맞는 것은?(p252)

평상시에 연결송수관 배관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로 관리한다.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31m 미만인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한다.

지상 6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한다.

관로 내부에 상시 물이 충전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4( ① ② -건식 설명, -지상 11층 이상)

 

23. 다음 중 지면으로부터 31m이상인 소방대상물 또는 지상 11층 이상인 소방대상물에 설치하는 연결송수관설비의 종류로 맞는 것은? (p252)

건식                        습식                          준비작동식                    감지기

: 31m 이상 또는 11층 이상은 습식, 31m 미만 또는 11층 미만은 건식

 

24. 연결살수설비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p253)

송수구

배관

살수헤드

방수기구함

4 방수기구함

해설: 연결살수설비의 구성요소는 송수구, 배관 살수헤드. (방수기구함은 연결송수관설비)

 

25. 연결살수설비의 한 쪽 가지배관에 설치되는 헤드의 개수는 몇 개 이하이어야 하는가?(p253)

7개                            8개                        9개                      10

2 (암기:토너맨트방식은 안된다)

 

26. 연결살수설비의 한 쪽 가지배관에 설치되는 헤드의 개수는 몇 개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p253)

2개                4개                  6개          8

4

 

27. 연결살수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사실과 다른 것은? (p253)

관로내부에 상시 물이 충전된 상태로 관리

판매시설 및 영업시설 바닥면적 합계가 1,000 이상인 소방대상물에 설치

지하층으로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 이상인소방대상물에 설치

소방대가 송수구를 통하여 물을 송수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활동설비

: 연결송수관설비 습식에 대한 설명이다.

 

28. 연결살수설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p253)

송수구                          배관 및 밸브

가압펌프                      살수헤드

: 소방차가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펌프는 따로 필요없다

 

29. 제연설비를 설치하는 이유로 바르지 않는 것은?(p254)

거실 제연설비: 연기를 배출시켜 화재실의 연기 농도를 낮춘다.

부속실의 극기가압제연설비: 가압하고자 하는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여 차압을 형성하여 연기 유입을 제한한다.

화재에 의한 화상 방지로 피난자의 안전 도모

소화활동을 위한 안전공간 확보

3

 

30. 부속실 제연설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p254)

인명안전의 목적이다.

수평피난의 목적이다.

피난로에 적용한다.

급기가압방식으로 제연한다.

2 ( 수직피난의 목적)

 

31. 제연설비 설치목적이 아닌 것은? (p254)

화재실의 연기농도를 낮추거나 청결층을 유지(거실제연설비)

부속실을 가업하여 연기유입을 제한(부속실 급기가압제연설비)

배연구를 설치하여 연기를 배출함으로써 거주자의 피난을 도모

소화활동을 위한 안전공간 확보

: 연기에 의한 질식방지로 피난자의 안전 도모

 

32. 제연설비에 있어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또는 부속실(전실)에 적용되는 최소차압은 몇 Pa인가? (p255)

10Pa                            20Pa

30Pa                            40Pa

:스프링클러설치 시에는 12.5Pa 이상

 

33. 제연설비에 있어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또는 부속실(전실)에 적용되는 문의 개방력은 몇 N인가? (p255)

100N                               110N

120N                               130N

: 최소차압 40Pa, 문의 개방력 110N

 

34. 부속실 또는 승강장이 면하는 옥내가 거실인 경우의 방연풍속은 얼마인가? (p255)

0.5m/s 0.7m/s

1.0m/s 0.3m/s

: 다른 경우는 0.5m/s

 

35. 제연구역의 선정으로 틀린 것은?(p255)

계단실 단독 제연

부속실 단독 제연

비상용승강기 승강장 단독 제연

계단실 및 비상용승강기 승강장 동시 제연

4 (계단실 및 부속실 동시 제연)

 

36. 제연설비의 최소 차압은 몇 Pa인가?(p255)

20Pa                           30Pa

40Pa                            50Pa

3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경우는 12.5Pa 이상)

 

37. 제연설비 차압에 관한 내용에서 출입문의 개방력은 몇 N 이하가 되어야 하는가?(p255)

90                        100                          110                        120

3

 

38. 다음 중 제연구역의 선정으로 틀린 것은?(p255)

계단실 및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것

부속실만을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계단실 단독제연하는 것

비상용승강기 승강장 및 계단실 동시에 제연하는 것

4 (계단실과 부속실은 동시 제연이고 나머지 전부 단독 제연이다.)

 

39. 제연설비의 최소 차압은?(p255)

10 Pa 이상                           20 Pa 이상

30 Pa 이상                            40 Pa 이상

4

 

40. 제연설비에서 부속실이나 승강장만 단독으로 제연하고, 부속실 또는 승강장이 면하는 옥내가 거실인 경우 방연풍속은 얼마인가?(p255)

0.4m/sec                        0.5m/sec

0.6m/sec                       0.7m/sec

 

41. 방연풍속문제, 보기에서 다른 하나는?(p255)

 계단실, 부속실 동시 제연

 계단실만 단독 제연

 부속실, 승강장이 면하는 옥내 거실 

 부속실, 승강장이 면하는 옥외 거실

답 3

42. 제연설비에서 계단실과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할 때 방연풍속은 얼마가 적당한가?(p255)

0.4m/sec                                0.5m/sec

0.6m/sec                               0.7m/sec

해설: 계단실과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할 때 압력이 높아지면 거실문을 열기가 어렵다.

 

43. 제연 시 출입문 개방력은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p255)

110N                      150N                  190N                    200N

1

 

44. 다음 중 부속실 제연설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p255)

부속실을 가압하여 연기 유입을 막는 급기가압제연설비이다

연기에 의한 질식 방지로 피난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이설비의 목적이 인명안전, 수평피난, 소화활동이다.

소화활동을 위한 안전공간을 확보한다.

3, 수평피난은 거실제연설비이다.

 

45.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할 경우 방연풍속은 몇 m/s 이상 되어야 하는가?(p255)

0.4m/s 이상                               0.5m/s 이상

0.6m/s 이상                               0.7m/s 이상

2

 

46. 화재발생시 전실(부속실)제연설비의 작동으로 틀린 것은? (p257)

감지기의 작동 또는 수동기동장치를 작동시키면 제연설비 작동 시작

급기댐퍼가 폐쇄된다.

송풍기의 바람이 계단실 및 부속실에 송풍이 된다.

플랩댐

급기댐퍼가 개방되어야 바람이 들어온다

 

47. 거실제연과 부속실제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p257)

거실제연은 수평피난 목적이며, 부속실제연은 수직피난 목적이다.

거실제연은 화재실, 부속실제연은 계단실 등 피난로에 적용한다.

거실제연은 급·배기방식이며, 부속실제연은 급기가압방식이다

·배기방식이란 해당공간의 기압을 다른 공간의 기압보다 높게 하여 차압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 급기가압방식에 대한 설명

 

48, 전실(특별피난 계단 또는 비상용승강가의 승강장) 제연설비 점검 방법으로 틀린 것은?(p258)

옥내 감지기를 작동시키고 화재경보 발생 및 댐퍼가 개방되는지 확인 한다.

송풍기가 작동하여 계단실 및 부속실에 바람이 들어오는지 확인한다.

전실 내의 차압을 측정한다.( 계단실, 부속실 등 차압장소의 문을 열고 전실안에서 측정을 한다.) 적정한 차압은 40Mpa이상(옥내스프링쿨러 설치된 경우 12.5Mpa 이상)

계단실, 부속실의 방연풍속을 측정한다( 출입문을 개방한 후 풍속계로 방연풍속을 측정한다.) 장소에 따라 0.5~0.7m/sec 이상이어야 한다.

. 3

해설 : 계단실 부속실 등 차압장소의 문을 닫고 전실 안에서 측정을 한다

 

49. 거실제연설비 점검방법에서 작동상태의 확인할 내용이 아닌 것은? (p258)

화재경보가 발하는지 확인한다.

제연커텐이 작동되는지 확인한다.

배기·급기댐퍼가 폐쇄되는지 확인한다.

배기팬, 급기팬이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   배기·급기댐퍼가 작동하여 개방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50. 비상콘센트 설비는 각 층에서부터 수평거리 몇 m 이하마다 설치해야 하는가? (p259)

20m                30m                40m                50m

4

 

51. 비상콘센트 설비의 설치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p259)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 이상 1.5m 이하에 설치한다.

전압은 220V 이다.

아파트 또는 바닥면적 1,000미만인 층은 계단의 출입구로부터 5m 이내에 설치한다.

보호함 상부에 녹색 표시등을 설치한다.

4 (적색표시등을 설치한다.)

 

52. 다음 중 비상콘센트설비를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p259)

①  

바닥에서 0.8~1.5m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수평거리 50m 이하로 설치

단상교류 220V 1.5KVA 이상 2극으로 전용배선

보호함 표면에 비상콘센트라고 표시할 필요는 없음

:

 

53.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종류로 틀린 것은?(p261)

누설동축케이블 방식

무선동축케이블 방식

공중선(안테나) 방식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안테나) 방식

2

 

54.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종류가 아닌 것은? (p261)

단선케이블 방식

누설동축케이블 방식

공중선(안테나) 방식

주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안테나) 방식

:

 

55. 지하구 화재발생시 지상 송수구를 통하여 소방펌프차로 송수하는 연소방지설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p262)

방수헤드              배관                송수구            수원

: